제목1

메뉴

제목2

Image

영농형 태양광이란?

  • 농지에서 농산물과 전기를 병행 생산하며 농산물 소득과 전기 판매 소득을 동시에 창출해 농업인의 실질적인 소득향상 실현
  • 20년 이상 안정적인 기본 농가소득(농민연금)
  • 농민소득은 유지하며 전기발전을 통한 농외소득으로 농가 살림 향상

태양광 시설

  • 식물 생육에 필요한 일조량 투과 구조 (차광률 30% 미만으로 설치)
  • 작업에 지장을 주지않는 3~5m 높이로 모듈을 설치하므로 농기게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음
  • 태양광 설치시 재배면적은 기존면적의 85.9%로 큰차이 없음

작물의 생육상태

  • 일반 농지와 영농형 태양광 농지 벼 생육상태조사(경상대학교 농업식물학과)결과 생육상태 동일수준 확인(벼의 이삭수, 이삭당 낟알의 수도 동일함. 벼의 전체길이도 일반 농지와 동일한 평균 110cm)
  • 인삼이나 포도의 경우 생산량이 오히려 증가함

영농형태양광의 기대효과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고 하부는 기존의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설계합니다. 식물의 광포화점을 초과하는 잉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원리로 태양광발전과 겸작하는 형태로 수익성을 극대화 시킵니다. (광포화점 :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최대 광량)

개별농가
  • 농가소득 보전을 통한 농업인 유지
  • 기존 농업 소득 유지 (감수율 20%이하)
  • 연간 순수익 940만원 이상 (500평, 100kW)
농업계
  • 무분별한 태양광 설치에 따른 농지잠식 방지하여 농지 보전 – 농업 지속
  • ‧ 농업인 유지 – 10만 농가 혜택 (태양광 발전 규모 10GW설치시)
사회
  • 농업지속성 확보를 통한 식량자급률 제고
  • 탄소중립 실현

영농형 태양광 혜택 및 장점

01 cell_tower
전력계통허가 완화

1MW 이하 농촌 태양광 사업은 전력계통 무제한 접속 허용

02 history
공사비 절감, 기간 단축

100kW 개별접속 설비 공사비 27% 인하 무제한 접속을 위한 개통 보강기간 단축(5개월 → 3개월)

03 gavel
규제 완화

농업진흥구역내에 태양광 시설을 직접 설치가 불가능하여 잡종지로 변경해서 진행하고 있으나, ▶ 법안 발의 중으로 차후 "영농형 태양광 타 용도 일시 사용 허용"

04 receipt_long
농지보전부담금 없음

농지전용 부담금 없음 개발행위 부담금 없음

05 currency_exchange
환경 보존

산림훼손 우려 없음 민원발생 우려 적음